본문 바로가기

CS Study/자료구조2

[CS Study] 자료구조 (2) - 비선형 자료구조 시작하기 전에비선형 자료구조는 1:N 또는 N:N 구조로 데이터가 나열되는 자료구조를 뜻한다.I. 그래프그래프(Graph)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점(vertex)과 정점을 잇는 간선(edge)으로 구성된 자료구조다. 정점은 노드(node)라고도 한다.일반적으로 G = (V, E)로 표현한다.인접(adjacent): 두 정점이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인접하다고 한다.차수(degree): 정점에 연결된 간선의 수를 나타낸다. 그림에서 정점 B의 차수는 3이다.진입 차수(in-degree): 해당 정점으로 향하는 간선의 수를 의미한다. 정점 B의 진입 차수는 1이다.진출 차수(out-degree): 해당 정점에서 나가는 간선의 수를 의미한다. 정점 B의 진추 차수는 2이다.경로(path): 한 정점에서 다른.. 2025. 5. 9.
[CS Study] 자료구조 (1) - 선형 자료구조 시작하기 전에선형 자료구조는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나열되는 자료구조를 나타냅니다.해당 상황을 해결하는 데 적합한 자료구조를 물으면 대답할 줄 알아야 합니다.배열배열(Array)은 정해진 크기만큼 데이터가 일렬로 저장되는 정적 자료구조다.각 데이터를 배열의 요소(element)라고 하며 데이터를 가리키는 번호를 인덱스(index)라고 한다.접근: O(1), 배열의 첫 번째 데이터에 대한 주소 값에 메모리 크기 * 인덱스 를 더하면 되기 때문이다.검색: O(n), 인덱스 0부터 하나씩 탐색해야 찾을 수 있다.삽입: O(n), 중간 인덱스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그 뒤 인덱스부터는 기존 데이터를 뒤로 한 칸씩 미뤄야 하기 때문이다.삭제: O(n), 마찬가지로 중간 인덱스 데이터를 삭제하면 그 뒤 인덱스부터는 .. 2025. 5. 9.